연구/전기차 클러스터 교육

전기차 클러스터 - DAY 39, 스마트 공장과 자동화 설비 요소기술

밸류체인 2021. 5. 24. 18:14
728x90

스마트 공장과 자동화 설비 요소기술 교육을 받았다. 원래 저번 수업에 이어서 자동제어를 수업받아야 하는데 약간 일정이 변경되어서, 스마트 공장과 자동화 설비 요소기술을 교육받았다. 한국기술교육대학의 정윤석 교수님이 교육을 진행해 주셨고, 먼저 교육생들의 이야기를 들어준 후 각자의 이름과 특성을 파악하시려고 노력하신 덕분에 수업을 시작하는데 있어서 풀어진 분위기에서 진행이 됐다.

 

※자동화 설비 요소기술

 

현장에서 핵심적인 키워드는 고장/에러/알람/트러블슈팅 이다. 다음과 같이 문제가 발생했을 때 어떠한 관점으로 바라보고 구조를 파악하는가에 따라서 해결을 해야한다.  

 

현장 공압 시스템 공정에서 이물질, 패킹, 센서 등에서 트러블이 많이 발생하는데, 트러블슈팅하기 위해선 다음과 같이 3가지 관점에서 바라봐야 한다. 전기적 점검, 기계적 점검, 소프트웨어 점검 이렇게 3가지 관점에서 바라봐야 올바르게 트러블 슈팅을 할 수 있다.

 

수업을 진행하면서 제일 쉽게 이해하는 것은 직접 진행해 보는 것이다. 그래서 실습을 하면서 수업을 진행했다. 먼저 실무에서 많이 사용하는 양식이 매우 중요하므로 폴더를 새로 만들어 파일을 구분하였다. 소프트웨어와 전장패널 시스템으로 크게 분류하였고, 소프트웨어에는 각종 프로그램 폴더, 전장패널 시스템에는 매뉴얼과 엑셀파일을 새로 만들었다. 엑셀파일에서도 기존 양식이 매우 중요하므로  다음과 같이 엑셀 파일을 만들었다.

 

부품 선정

위 부품선정 표와 같이 기본적인 매뉴얼을 만든다. 필요한 정보를 정리하고 기입한다. 필요에 따라 부품 매뉴얼을 다운받아서 사진을 캡처해서 빨간선으로 테두리를 만들어 필요한 정보를 강조한다. 가장 기본적인 제조사, 품명, 모델명, 전력, 전압, 전류, 수량, 전체전류, 전원, 전장부품 용량, 전장부품 제조사, 전장부품 품명, 전장부품 모델명을 적었다. 여기서 전장부품은 종류에 따라서 달라진다. 실무에 가서도 다음 3가지는 중요하다. 제조사, 품명, 모델명 그 이유는 관련 정보를 바로바로 찾을 수 있기 때문이다. 기준은 전류로 하게 되는데 전류와 온도는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에 즉, 비례하기 때문에 전류 값을 기준으로 한다. 

 

 

전력 계통도

01_전력 계통도와 같이 작성한 이유는 실제 공정에서 PLC를 바로 전원에 연결하지 않고, PLC에 안정적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CP라는 회로보호기를 통해 과부하(과전압 또는 과전류)/단락(숏트)가 발생시 차단한다. 그 앞에 MCCB, ELCB를 통해 전원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만약 PLC의 전원이 나가게 된다면 공정이 중단되는 대형사고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위에 표에서 볼 수 있듯이 병렬구조로 이루어져 있는데, 전압은 일정하고 전류는 분배되기 때문이다. 전압은 계속 일정하고 전류는 변경된다.

 

오늘은 많은 내용보다는 기본적인 내용에 포커스를 맞춰서 교육을 진행했다. 실무에서 많이 쓰이는 내용을 다뤄서 더욱 집중해서 들을 수 있었다. 자동화 시스템에 대한 전반적인 설명을 시작으로 진행돼서 내가 무엇을 배우고, 왜 배워야 하는지를 생각하면서 교육을 받으니 더욱 이해가 쉽게 됐다. 각 과정이 왜 필요한지, 그럼 어떻게 진행을 해야하는지 자세한 내용은 차차 알아가보도록 하자.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