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유지회로 (3) 썸네일형 리스트형 전기차 클러스터 - DAY 48, 간단한 PLC회로 설계 먼저 엑셀로 공급실린더와 드릴실린더 편솔레노이드를 각각 작성한다. 그 다음에 FESTO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공급실린더 편솔레노이드 밸브와 드릴실린더 편솔레노이드 밸브를 각각 설계한다. 여기서 입력과 출력 그리고 메모리 3가지를 기억해야한다. 출력은 A가 전진하기 위해서 Y20가 온 돼야 한다. 그래서 M1이 Y20으로, M2가 Y22로 가는것이다. 후진하기 위해서는 A- 신호를 켜주기 위해 M3이 Y20으로, M4가 Y22로 가는것이다. b접점으로 하는 이유는 A가 전진하면 ON되는 센서는 X1 B+가 전진하면 ON되는 센서는 X3, A-가 후진하면 ON되는 센서는 X0에 센서가 들어오고 마지막으로 B-가 후진하면 X2번에 센서가 들어올 것이다. 공급실린더와 드릴실린더의 FESTO 모습이다. 공급실린더와.. 전기차 클러스터 - DAY 41, 전장 모터 정역회로 설계 저번 시간에 이어서 오늘은 전장 모터 정역회로 설계를 직접 해본다. DC Type 회로를 설계할 것이므로 먼저 엑셀을 이용하여 도면을 작성한다. 이렇게 엑셀로 계통도와 도면을 미리 작성해 놓으면 실수가 줄고 작업자들간 소통하기 용이하다. 어제 만들어 놓은 도면에 새로 추가해서 만들었다. 빨간색 X 표시는 도면에는 존재하지만 실제로 만들지는 않았다. 센서가 없는 관계로 센서대신 버튼을 사용했다. 첫번째 버튼을 누르게 되면 모터가 작동하고, 두번째 버튼을 누르게 되면 모터가 반대로 돌고, 세번째 버튼을 누르게 되면 모터가 작동을 멈춘다. 자기유지회로와 A, B접점에 유의하여 설계를 진행해야 한다. FSETO 작동 영상 실습 영상 위 영상처럼 빨간버튼을 누르게 되면 모터가 작동되고, 초록버튼을 누르게 되면 모.. 전기차 클러스터 - DAY 38, 시퀀스 제어 오늘은 자동제어 그 중에 시퀀스 제어에 대해 교육받았다. 자동제어는 크게 되먹임제어(Feedback Control)와 시퀀스제어(Sequence Control)가 있다. 되먹임제어는 피드백에 의해 제어량을 목표값과 비교하여 일치시키도록 정정 동작을 하는 제어이고, 시퀀스제어는 미리 정해진 순서나 시간 지연 등을 통해서 각 단계별로 순차적인 제어동작으로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는 방법이다. ▣시퀀스 제어의 종류 릴레이 시퀀스 - 주위 온도나 서지 전압에 대한 내력특성은 좋으나 소비전력이 크고 접점동작 속도가 느리고, 진동 및 충격 등에 약하며 접점에 수명이 있어서 고장이 많다. 무접점 시퀀스 - 제어 회로에 사용되는 소자(IC, Diode, Transistor, SCR 등)는 동작속도가 빠르고 정밀하며 수명이..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