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연구/전기차 클러스터 교육

전기차 클러스터 - DAY 16, QSB Elements

728x90

품질관리 교육의 마지막으로 QSB 30개의 Element에 대해 자세히 교육받았다. 

PDCA Cycle을 기초로 각 과정에 대해 배우며 전에 맛보기로 배웠던 QSB 30개의 Elements 실행에 대해 자세하게 받을 수 있었다. 

 

2021.04.16 - [연구/전기차 클러스터 교육] - 전기차 클러스터 - DAY 14, 제조업의 눈은 품질이다.

 

전기차 클러스터 - DAY 14, 제조업의 눈은 품질이다.

※공정 관리 계획서(Process Control Plan) 공정을 어떻게 관리할지에 대한 계획을 기록한 서식으로 첫 장에는 팀 구성과 개정 이력 등 관리 사항을 적는다. 공정 관리 계획서 작성 방법의 핵심은 -재

valuechain-life.tistory.com

QSB 실행을 위해서 제일 먼저 해야 할 일은 조직을 구성하는 것이다. 관리자와 작업자로 이루어진 조직을 구성한 다음에 직책과 이름, 번호 등 각자의 역할을 부여한다. 그 다음 QSB 실행을 위해 Master Timing Chart를 계획하여 조직과 공유한다.  그 후 매뉴얼과 Process를 적립하고, Process에 따른 Procedure를 표준하 한 다음에야 실행에 들어갈 수 있다.

 

QSB 의 30개 Elements는 

 

1. 부적합품 관리와 부적합품 격리조치 
2. 신속대응 절차 수립 및 개선회의체 운영 
3. 신속한 문제 해결 절차 실행 
4. 팀으로 문제 해결 절차 실행 
5. 각 조직 계층 참여 공정감사(LPA) 
6. 공정(P) FMEA 활동 
7.  PFMEA의 위험순위 별 년간 개선 진행 
8. 긴급 생산라인 사고 대응전략 (Bypass/Deviation Management) 
9. 실수방지장치(Error proof) 검증 활동 
10. 게이지 검교정과 측정시스템 검증(MSA)
11. 품질 중점 점검 활동 수행 
12. 표준화된 작업 진행(SOS,WS,JIS) 
13. 공정변경의 관리(4M Change) 
14. 중점 전수검사공정 수립(VS,FI,CARE,GP12) 
15. PTR 절차 수행(Production Trial Run) 
16. 안돈(Andon) 시스템 적용 
17. 긴급사항 경고 및 보고시스템(Alarm&Escalation)
18. 눈으로 보는 관리의 실행(Visual Control) 
19. 작업장 표준화 실행 (3정5S,쉬운 현장의 대화법)
20. 공정관리 
21. 공정관리계획서 적용 
22. 공정능력 검증 절차적용 
23. 재작업/수리/재 투입 공정 표준화 (Rework/Repair/Reprocess) 
24. 업무의 feedback과 feedforward 실행 
25. 교육과 훈련 절차 실행(OJT/MFC) 
26. 제품과 생산라인 오염관리 
27. 생산보전활동(TPM) 
28. 선입선출(FIFO)/자재운반절차 적용(MHP) 
29. 선적관리와 포장용기 관리 절차 
30. 협력업체 관리절차 실행

 

이렇게 30개로 이루어져 있고, 각 과정은 지금까지 받은 교육의 연장선이다. 

 

30개의 과정을 실행하며 작업자에게 가이드라인을 주고, 관리자로서 자재부터 시작해서 설비와 환경, 사람까지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프로세스를 배울 수 있었다. 지금까지 배웠던 품질관리는 결과적으론 불량률은 낮추고 최종적으로는 생산성 향상과 고품질 양산이라고 생각한다.

 

오늘은 품질관리와 별개로 교수님의 인생에서 교훈이 될만한 얘기를 들려주시며, 우리에게도 가슴 어린 말씀을 해주셨다. 지금 교육받는 교육생들은 회사생활을 해보지 않았기에 회사에서의 기본 자세와 사회를 살기 위해 취해야 할 태도도 배울 수 있었다. 이제 이론 수업보다는 실습 위주로 교육이 이어지겠지만, 학부과정에서 간간히 접했던 생산 제조기술부터 생산, 품질관리를 실무자 입장에서 생각하고 교육을 받아보니 어떻게 적용시킬 수 있는지 배울 수 있는 좋은 시간이 된거 같다.

 

 

728x90